목록전체 글 (306)
바닷가에서 놀자!!
얼마전 애들이랑 영화를 봤다. 겟썸 (http://www.getsome.co.kr/)이란 미국 고등학생들 이야긴데 줄거리는 단순하다. 싸움의 기술+말죽거리 잔혹사.. 그 정도.. 영화 중간에 주인공이 무술 수련을 하는데 싸부가 호흡을 밷으면서 주먹을 내 뻗으라는 이야기를 하는 장면에서 "아차"하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접영 자세를 고친답시고 유연성이 모자란다 어쩐다 하면서 물 속에서 힘을 쓰면서 나도 모르게 자꾸만 팔을 벌렸다가 물을 잡고 뒤로 보낼 때 호흡을 멈추었던게 생각이 났다. 실수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퍼뜩 들었다. 운동 조금이라도 해본 사람은 무수히 들어봤겠지만 힘을 쓸 때는 호흡을 밷으라고 한다. 인터넷에 많은 자료가 있지만 내 생각에는 단거리 경주와 같이 한번만 힘을 쓰고 말거라면 숨을 참..
이 글의 원본은 상당히 오래 전에 작성했다. 당시에는 수영 동영상이 많이 없던 시절이라서 일본 교육 싸이트(http://www2.edu.ipa.go.jp/gz/)의 동영상을 링크했는데, 영상의 해상도도 요즘 기준으로는 너무 낮고 그 싸이트에서 이제 더 이상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글의 일부를 수정한다. 2018. 5. 30. 안녕하세요? 최근 수영에 관한 글을 너무 안 쓰다 보니까 혹시라도 서운해 하시는 분 계실까봐(착각이겠죠...) 오늘 아침에 수영장에서 느낀 점을 써 봅니다. 꽤 오래 수영을 하신 분들 중에도 배영을 천천히 할때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빠르게 하면 힘 주어 발을 차면서 무릎이 물 밖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다니는 수영장에도 그런 분들이 꽤 계신데 강사가 말씀을 드..
이 블로그를 만들고 글을 올리기 시작한 무렵부터 접영 자세를 고칠려고 노력하고 있다. 수영장에서도 자세교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여기에 올린 동영상도 보면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모든 문제가 유연성 부족에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뒤돌아 생각해보면 수영을 해 오면서 계속 힘들었던 부분이 유연성이었다. 자유형을 하면서도 팔을 유연하게 돌리지 못해서 양 팔로 수건을 등 뒤로 잡고 당기면서 쬐끔 개선을 해서 겨우 남들과 비슷한 자세로 자유형을 한다. 자유형이 조금 개선되었지만 오른팔에 비해 왼팔은 유연성이 부족해서 훨씬 큰 원을 그리면서 자유형을 하지만 "동호인 수준에서 이 정도면 됐지..." 하면서 나름대로 만족을 하고 있었는데 접영에 이르러서는 또 다시 노력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물속에..
평영 팔동작도 어려운 부분 중 하나 입니다. 저처럼 바닷가에서 놀다가 헤엄을 배운 경우는 평영은 할 줄 안다고 생각을 했다가 발동작에서 "이게 아니구나!"를 한번 느끼고 풀 부이(Pull Buoy)로 하체를 고정시키고 평영 팔동작만으로 수영을 했을때 전혀 앞으로 나가지 않는 나를 보면서 "팔 동작도 이게 아니구나!"를 또 느낍니다. 평영을 할때 팔과 다리를 같이 움직이면 누구나 어느 정도는 앞으로 나가는데 (수영이 된다고 느껴지는데), 팔만 또는 다리만 움직여보면 신경써서 연습하지 않은 다음에야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우선 비디오를 보시죠. 동영상의 출처인 일본의 원래 자료에는 이 비디오를 통해서 평영 팔동작이 입수-물잡기-물젓기-리커버리로 이루어진 것을 익히도록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가 느낀 점을 추가..
최근에 접영 팔동작을 고치고 있다. 여태 전체적인 팔/다리 박자는 제대로 맞추면서 접영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팔 동작 고칠 점을 지적 받고 연습중이다. 물론 박자는 맞지만..... 우선 접영의 기본이 되는 돌핀킥을 먼저 구경해보자. 킥도 연습을 꽤 했지만 선수들이 몸을 정말 고래처럼 유연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 무척 아름답게 느껴진다. 정말 미끈하다. 부럽다. 근데 이 그림을 보면 발을 약간 벌리고 킥을 하는데 배울때 발을 완전히 모아서 차라고 배운 터라 완전히 모으는게 좋은지 약간 벌리는게 좋은지 잘 모르겠다. 출전:IPA「교육용 화상 소재집사이트」 http://www2.edu.ipa.go.jp/gz/ 이젠 본격적으로 팔 동작을 보자. 팔을 좌우로 벌리면서 가슴을 낮추고 팔은 그대로 머리 위에 둔..
수영을 배운지 어느 정도 지나서 중급 이상인 분들도 물 속에서 저항없이 미끌어지는 자세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항없는 자세로 수영을 해야지 힘도 덜 들고, 몸에 무리도 안가고 멋진 자세가 나옵니다. 저도 초급반 시절에 배우고도 팔돌리고 다리 젓는 것만 신경쓰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연습을 했습니다. 물 속에서 미끄러지면서 머리에, 어깨에, 등에, 느껴지는 저항을 느끼면서 가능한 물의 저항을 덜 받는 유연한 자세로 미끄러지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애 써보시기 바랍니다. "수중에서 저항없는 바른 자세를 만들자"가 핵심입니다. 여러번 보시고 실습을 해 보세요. 자세가 바를수록 물 속에서 미끄러지는 거리가 길어집니다. 물론 힘이 엄청 쎈 경우도 많이 가겠지만요.... ㅋㅋ 출..